Spring & React 결합 (f. CORS해결)
스프링과 리액트 이 두 친구들이 서로 사용하는 포트가 다르다. 리액트는 3000을 사용하는 반면, 스프링은 8080을 사용한다. 사람마다 CORS를 해결하는 방식도 각양각색인데 크게 3가지 정도가 생각이 난다. 스프링을 3000에 맞춘다. 리액트를 8080에 맞춘다. 제 3의 포트로 둘 다 맞춘다. CORS(Cross-Origin Resource Sharing)이란? 추가 HTTP 헤더를 사용하여, 한 출처(origin)에서 실행 중인 웹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출처(origin)의 선택한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도록 브라우저에 알려주는 체제 (출처) 저 같은 경우에는 리액트를 스프링 포트에 맞춰주었습니다. {리액트 패키지}/package.json 에 "proxy": "http://localho..